포트포워딩 썸네일형 리스트형 Plex 서버 접속안되시는 경우 설정법 Plex를 아래 와 같이 패키지 센터에서 Plex를 선택하여 설치하여 주세요. 주소창에 http://IP주소:32400/web 을 써주시면 관리 페이지가 접속됩니다. 설치되었고 웹에서는 이용가능하지만 어플에서는 접속안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위와 같이 외부접속이 안된다고 나타나는 이유가 http://IP주소:32400/ 으로 설정되어야 하는데 /web라는 내용때문인데 이것을 수정하면 해결됩니다. 해결을 위해서 SSH로 서버에 접속해주세요. 설정을 위해 cd /usr/syno/synoman/webman/3rdparty/plex 라고 쳐서 디렉토리를 이동해주세요. 그러면 파일중에 plex.cgi 라는 파일이 보입니다. 이제 plex.cgi를 vi를 이용하여 수정하겠습니다. 빨간부분을 보시면 IP주소:3240.. 더보기 각종 게임 방화벽 사용풀기(포트포워딩) 블로그 유입키워드를 보면 마인크레프트 포트포워딩이나 스타 포트포워딩에 대한 내용이 간혹 있습니다. 이에 해결책을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자 우선 다양한 게임들의 포트가 있겟지만 간단하게 모든 포트를 열어버리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모든 포트를 열기위해서 공유기 관리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014/02/28 - [IT/네트워크 셋팅] - iptime의 DDNS를 사용해봅시다. (공유기 관리페이지 접속방법 : http://mania89.tistory.com/36) 자 접속하셧다면 아래와같은 메뉴로 이동해주세요. 고급 설정 - NAT/라우터 관리 - DMZ/Twin IP 설정 로그아웃 현재 사용하지 않음으로 되어있습니다. 위와같이 DMZ를 선택하시고 현재 접속한 PC를 체크하던지 현재 PC가 아니라면 .. 더보기 IPtime 포트포워딩(포트포워드) 해보자 포트 포워딩 또는 포트 포워드 라고 하는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NAS를 이용하기 위해선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공유기에서 보안문제와 기능적인 문제로 FTP나 SSH등을 이용하기 위해 꼭 해야하기 때문입니다. 아래 그림처럼 각 공유기엔 여러대의 스마트기기나 PC가 연결되지요~ 그렇다면 외부PC2에서 공유기로 접속하기 위해 공인IP나 DDNS를 통해 접속을 시도할텐데요 이 경우 공유기에 신호를 주면 어떤 제품으로 연결되야하는지 공유기는 알지 못해서 공유기한데 FTP(Port:21)의 신호가 오면 NAS의 IP주소인 192.168.0.22로 신호를 전달하라고 미리 저장해두는 것이지요. 위의 그림을 기준으로 설명해보겠습니다! 자 공유기 관리 페이지에 접속해주세요! 관리페이지에서 고급 설정 -.. 더보기 이전 1 다음